카테고리 없음

감염환자 대응법과 수술방 청소 완벽 가이드

snow2ater 2025. 1. 28. 23:08
728x90
반응형




수술실 감염 관리 매뉴얼: 감염환자 대응부터 위생 관리까지 완벽 가이드





수술실 감염 관리는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보장하는 핵심 요소입니다. 감염환자 관리는 사전 준비, 동선 관리, 수술방 소독 및 환기, 폐기물 처리, 그리고 교육 매뉴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. 본 매뉴얼은 실무에 적용 가능한 린넨 사용 시 주의사항, 환기 지침, 그리고 청소 절차를 포함해 체계적으로 정리했습니다.






1. 감염환자 파악 및 관리



1-1. 감염환자 사전 파악

환자 접수 시 문진과 의무기록으로 감염 여부를 확인합니다.

필요시 감염성 질환(예: MRSA, 결핵, HIV 등) 검사를 시행합니다.


1-2. 감염환자 확인 표시

환자 의무기록과 스케줄 보드에 **‘감염주의’**를 표시(비공개 유지).

전자 차트에 감염 유형을 명시해 의료진 간 원활한 소통이 가능하도록 합니다.





2. 감염환자 응대 방법




2-1. 감염 환자 준비 절차

감염 환자의 피부에 항균제를 도포하여 감염을 예방합니다.

전용 이동장비, 1회용 수술 가운 및 장갑을 착용합니다.


2-2. 감염환자 동선 관리

환자의 이동 경로를 최소화하고, 격리된 동선을 계획합니다.

다른 환자 및 의료진과의 접촉을 방지합니다.





3. 감염환자를 위한 수술방 관리




3-1. 수술방 지정

감염환자는 마지막 수술로 배정합니다.

전용 수술방이 없을 경우, 일반 수술방을 사용하되 철저한 소독이 필수입니다.


3-2. 수술방 표시 및 관리

수술방 입구에 ‘감염환자 진행 중’ 표지판을 부착합니다.

입구 발판에는 알코올 소독 매트를 설치해 오염 확산을 방지합니다.





4. 감염 노출 위험 관리




4-1. 수술 중 감염 예방

의료진은 **PPE(Personal Protective Equipment)**를 착용하며, 감염 예방 수칙을 철저히 준수합니다.

장비 종류: 장갑(gloves), 가운(gown), 마스크(mask), 고글(goggles).


수술 중 감염된 기구는 즉시 격리 용기에 보관합니다.




4-2. 감염 노출 발생 시 대처

노출 부위를 흐르는 물로 세척한 뒤 적절히 소독합니다.

감염 관리팀에 즉시 보고하고 후속 처치를 시행합니다.





5. 폐기물 및 사용기구 후처리 관리


5-1. 폐기물 관리

감염성 폐기물은 **전용 용기(노란색 봉투)**에 밀봉 후 처리합니다.

폐기물은 라벨링과 기록을 철저히 관리합니다.


5-2. 사용기구 소독 및 멸균

1회용 수술팩과 가운 사용을 권장하며, 사용 후 즉시 폐기합니다.

부득이하게 린넨 또는 다회용 포를 사용할 경우, ‘감염주의’ 표기 후 배출하며, 고온 멸균 처리를 진행합니다.





6. 수술방 청소 및 환기


6-1. 수술방 청소 순서



1). 사용된 기구와 폐기물을 분리해 격리 처리합니다.


2). 수술방 내부(벽, 바닥, 장비대 등)를 알코올 소독제로 닦습니다.


3). 장비대와 수술 침대를 재소독하고, 모든 기구를 소독 후 재배치합니다.



4). 구체적인 청소 절차

a. 오염된 구역(수술대 및 기구대)

혈액, 체액 등 오염된 표면을 우선 소독합니다.

수술 침대, 기구대 등 환자와 기구가 직접 접촉한 부분을 철저히 소독.



b. 기타 표면(고정 장비 및 벽면)

모니터, 수술등, 벽면 등은 중간 단계에서 소독합니다.



c. 바닥 청소

오염 물질이 떨어질 가능성이 높은 바닥은 가장 마지막에 청소합니다.

소독제로 닦은 후, 물기가 남지 않도록 마무리합니다.





왜 오염된 부분부터 청소해야 할까?

감염 확산 방지: 오염된 구역을 먼저 처리하지 않으면, 오염 물질이 깨끗한 구역으로 퍼질 위험이 높아집니다.

효율성 증가: 가장 오염된 구역을 처리하고 나면, 나머지 구역은 재오염 위험이 적어 더 효율적으로 청소할 수 있습니다.




e. 주의사항

각 단계마다 사용한 소독 도구(걸레, 스펀지 등)는 교체하거나 즉시 세척합니다.

오염된 기구는 전용 용기에 분리 보관 후, 별도 멸균 처리.


위 원칙을 준수하면 수술방 청소의 감염 예방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.






6-2. 수술방 환기


음압 수술방이 없을 경우, 환기 시간을 충분히 확보해 오염된 공기를 제거합니다.

일반 수술방에서도 최소 30분 이상 환기하며, 가능하면 UV 소독램프를 사용합니다.





7. 다음 수술을 위한 절차



7-1. 재준비 절차

모든 소독 작업을 완료한 후, 기구와 장비를 재배치합니다.

가능하면 UV 소독램프와 공기청정기를 활용합니다.


7-2. 감염 관리팀 확인

감염 관리팀이 최종 점검 후, 다음 수술 준비를 승인합니다.





8. 직원 교육 매뉴얼


8-1. 교육 내용

손 위생 및 PPE 착용법.

감염 환자 관리 절차(동선, 폐기물, 린넨 사용 시 주의사항).

수술방 청소 및 환기 절차.


8-2. 교육 방법

정기적인 모의 훈련과 워크숍을 개최합니다.

매뉴얼 및 동영상 자료를 제작해 직원들에게 배포합니다.





자주 하는 질문(FAQ)





Q1. 린넨 사용 시 주의사항은?

린넨 사용 후 **‘감염주의’**를 표기하고, 폐기물을 고온 멸균 처리해야 합니다.


Q2. 락스 희석 비율은?

물 1L에 락스 뚜껑(20ml) 2개를 섞어 1% 희석액을 만듭니다.


Q3. 감염환자 수술 후 환기 시간은 얼마나 필요한가요?

음압 방이 없을 경우, 최소 30분 이상 환기해야 합니다.


Q4. 소독 티슈는 어떤 제품이 좋나요?

3M CaviWipes와 Clorox Healthcare 소독 티슈는 간편하고 효과적입니다.








728x90
반응형